메뉴닫기
랜덤 룰 카지노 룰
  • 학회소식
  • 회원동정

회원동정

신간 안내-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이기봉)
이름
대한지리학회
날짜
2008.08.22 02:08
조회수
995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
한국적 전통도시 경관의 원형 탐색

이기봉(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목차

출판을 기념하며
머리말

1. 조선시대 읍치 연구의 의의와 방법
1. 조선시대 읍치 연구의 의의
-세계화시대 한국인의 문화정체성과 한국적 도시의 재발견
2. 전통시대 도시 연구의 방법론적 관점
-보편적 도시로서의 읍치 연구를 위한 분석들
3. 읍치 연구의 기본 방향
-조선시대적 지방도시로서의 특성에 대한 연구

2. 조선시대 읍치 경관의 원형 탐색
1. [주례고공기]와 당 장안의 도시 조영 원리
-한반도 도시의 경관적 원형으로서의 모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통일신라 말기와 후삼국시대 풍수의 도입과 정착
-현대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적 도시 조영 원리의 도입 과정
3. 조선시대 읍치 경관의 원형
-개성과 한양에서 지배이데올로기의 경관적 이미지

3.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다양성과 전형성
1. 읍치의 입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경향
2. 읍치 입지 형태의 다양성과 전형성
3. 읍성의 입지 시기와 입지 형태
4. 읍치의 이동과 입지 경향
5. 고려말 이후 읍치 이동의 경향성과 역사적 시사점

4.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
1. 사례연구의 필요성
2. 낙안군의 읍치 이동과 구읍치의 장소적 관성
3. 낙안읍성의 조선적 권위 상징화
4. 낙안읍성, 조선적 지방도시의 전형

5. 전통도시와 고지도의 만남: '최현길 고지도박물관'의 건립을 제안하며
1. 낙안읍성과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2. 새롭게 발굴되어야 할 낙안읍성의 관광자원
3. 관광자원으로서의 낙안군 고지도
4. 최현길 고지도의 예술적 가치
5. 최현길 고지도박물관 - 전통도시와 고지도의 메카로
6. 박물관과의 연계 사업

6. 고지도.지리지와 함께 떠나는 장성의 읍치 여행
1. 장성의 뿌리, 장성현의 구읍치
2. 인공적인 이상 공간, 장성의 신읍치
3. 들판을 버리고 골짜기로, 진원현의 구읍치

보론
한반도 전통공간의 풍수적 이해에 대한 의문과 상상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