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 학회소식
  • 회원동정

회원동정

신간도서 안내 "종족집단의 경관과 장소"(전종한)
이름
대한지리학회
날짜
2005.09.27 10:09
조회수
859

*전종한(교원대), 2005, <종족집단의 경관과 장소>, 서울:논형

*목차
1. 서설: 한국 종족집단의 자화상 - 그들의 경관과 장소
1) 종족집단이 국토에 그려놓은 경관과 장소들
2) 이 글의 이야기 전개에 관해
3) 문헌 자료 및 지리적 함의
2. 경관과 장소를 읽는 새로운 관점
1) 포스트모던 인문지리학의 시선
2) 문화경관 연구와 그 반성
3) 새로운 노정: 사회적 전환
4) 맺는 말
3. 한국 종족집단의 본관, 그리고 장소 정체성
1) 성은 중국산, 본관은 한국산
2) 본관 개념의 출현 배경
3) 본관의 실재성와 허구성: 그 의미의 세 차원
4. 종족집단의 공간 이동과 종족촌락의 탄생
1) 미시적으로 들여다보기
2) 공간 이동의 무수한 상황들: 보성오씨 사례
3) 이주 패턴의 특성과 종족촌락의 기원 탐구
5. 종족집단간 사회관계망과 촌락권의 형성
1) 개별 촌락이 아닌 ‘촌락들’을 보자
2) 이중환이 추천한 오서산의 복지福地 ‘청라동’
3) 사회관계망과 촌락권의 습합관계
4) 경관과 장소를 통해 촌락권의 정체성 읽기
6.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Ⅰ: 생태적 정착 단계)
1) 거주민의 시선으로 지역을 보기
2) 충청도 양반의 공간적 실체를 찾아서
3) 거주 공간의 확보와 물적 토대 구축
4) 첫 번째 단계를 접으며
7.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Ⅱ: 경관 생산 단계)
1) 영역 장악을 위한 공간 전략: 경관 생산
2) 상징경관의 생산을 통한 지역적 뿌리 내림
3) 사회관계망의 공간적 확장
4) 두 번째 단계를 맺으며
8.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Ⅲ: 영역성 재생산 단계)
1) 영역의 충전과 재생산을 향하여
2) 집단 기억의 복원, 사회관계망의 시 ․ 공간 확장
3) 지역 내 분화와 영역성의 확대 재생산
4) 영역의 내부 충전, 경계지대의 정치 ․ 생태학
5) 맺는 말
부록
1. 종족집단별 본관의 등장 추이
2. 종족집단별 본관 형성의 연고